청동기 농경수렵인의 지구별 여행

지구별 대한민국 살아보기

by Ötzi

살다보니

2014년 유행어로 헬조선이 있습니다. 한국이 근본적으로 살기 어렵다 생각한 국민들에게 공감을 받았던 표현입니다. 500년 기록의 조선과 민주주의가 뿌리내린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말로 거부감이 들었지만 푸념이 풍자에 이른 모습으로 흥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지금 이곳은

애초에 그렇게 어려운 곳이었는지.
그렇게 더욱 어려운 곳이 되려는지.
생각해보며 글꼭지를 열어봅니다.

홀로세 Holocene 이래  빙하가 물러나 동물과 식물의 공간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기온이 올라간 덕분에 더욱 습윤해져 열대 우림이 늘어나고 한편으론 툰드라 지역이 좁아져 사람 살 땅도 넓혀졌습니다. 

사람이 살아볼만한 때는 신석기부터입니다. 구조화된 공동체가 불가사의에 대한 같은 믿음, 종교를 형성했습니다. 그리고 대략 1만년이라는 시간 동안 시행착오를 거치며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과학이 지식의 지평을 열어 이제는 지구별의 거의 모든 곳에 살 수 있습니다.

꿈을 꾸었습니다. 젖과 꿀이 흐르는 세상에 인간으로 사는 바램입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존하며 나아가고 있습니다. 도시는 치밀하게 관계를 돕고 사람은 더 쉽게 거 많이 교류합니다.

서로 대신할 존재가 늘어나면서 이제 사람이 흔할 세상을 걱정하는 일이 남았습니다. 풍요 한켠에 빈곤도 놓여졌습니다.

과연 우리가 사는 이곳은 헬일까요? 야만의 시대는 생존 활동이 필수였고 문화의 시대에는 관습이 생활을 지배했습니다. 모두가 바로 사는 답은 자립에 있습니다. 홀로서기가 어려운 세상은 지옥처럼 느껴질 것입니다. 놀랍게도 완벽한 삶을 완성했던 고대의 오랜 흔적을 전해주는 흔적이 있습니다. 5000년전 빙하 아래 갖혔던유럽인이 전해주는 고대의 모습을 만나봅니다.
 

5000년 전 아이스맨, Ötzi

Ötzi 외치는 1991년 9월 19일 이탈리아-오스트리아 국경 사이 알프스 산맥, 외츠 계곡의 Niederjoch 빙하 얼음 속에서 발견된 약 5300년 전의 중년 남성입니다. 시신뿐 아니라 유물까지도 5300년 전 상태 그대로 고스란히 당시 모습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가 살던 시대는 청동기 문명의 시대입니다. 문자가 등장하고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등지에 수만명이 사는 도시와 거대 신전들이 들어서고, 인도 인더스 문명도 이 시기에 발전합니다. 160 cm에 50 kg, 다부진 체격을 갖춘 갈색머리의 중년 남성은 물물교환으로 살아가던 농경수렵인으로 추정됩니다. 남겨진 그의 모습은 현대 문명에서 벗어나 당시 지혜로 살아가던 사람 모습을 보여줍니다.
 
Ötzi는 심장병, 동맥경화, 담석증, 유당불내증, 라임병 감염, 대장 편충, 위장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심한 치아마모증과 치주질환을 동반한 치조골 손상, 심한 관절염과 늑골과 코에 골절상, 12번째 늑골 두 개가 없는 유전질환을 겪었습니다.

소지품으로 작은 도구들이 든 가죽가방과 바구니,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그릇, 사슴뼈 바늘과 끈, 뼛조각, 연필 모양의 뼈 공구, 부싯돌, 풀로 만든 칼집에 든 돌단도가 발견되었습니다. 
 
의복으로는 곰 가죽모자, 조각난 염소 가죽을 이어서 만든 가죽바지, 양가죽/염소가죽으로 만든 코트, 풀로 엮은 망토, 소가죽으로 만든 가죽 신발끈, 건초를 채운 사슴가죽 신발 등을 사용했습니다. 
 
무기로는 1.8m 길이의 주목나무 활과 산딸나무, 가막살나무로 만든 돌화살 14개가 든 노루 가죽 화살통, 뼈 손잡이로 된 순도 99.7%의 구리 손도끼가 있습니다.
 
상비물품으로 가죽끈에 꿴 상태의 발화제 겸 연료인 말굽버섯과 반창고와 진통제로서 자작나무 버섯이 있었고, 상비음식으로 먹다남은 훈제 혹은 염장 고기의 뼛조각과 비타민 보급용으로 보이는 자두씨로 미량영양소를 챙겼던 것으로 보입니다.

Ötzi 외치의 흔적은 시대에 존립하는 인간으로 의미가 있습니다. 사람은 시대에 맞는 양식을 갖추어 기본을 누리며 생존합니다. 두발로 살아가는 하루의 기본은 같습니다. 그에 걸맞는 삶을 갖추어 나가는데 두발로 딛은 터전도 같아 다를 것이 없습니다. Ötzi가 남겨준 양식을 이해하면 다음 5000년도 살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

다시 돌아와 동시대를 마주한 우리는 잿빛 콘크리드 속 자본주의 정글에서 월 단위로 신용카드를 저글링하는 자조섞인 삶에 놓인 듯 보이겠지만, 지금 세상은 5천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풍요롭습니다. 지구별, 이 곳은 삶의 기본을 어디에 두는지에 따라 때로는 유토피아로 한편으로는 디스토피아로 느껴질 것입니다.

이제, 

지금 살고 있다는 것.
내일을 준비한다는 것.
인간으로 함께 하는 것.
저녁 만찬이 마련된 것.
쉼과 안식을 누리는 것.
 
이런 일들이 어느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지.
이런 일들을 언제나 손쉽게 할 수 있는지.
이런 일들로 세상이 체워질 수 있는지.
 
모두 확인하고자 이 블로그를 시작합니다.
 
재밌게도 필자의 나이는 청동기 수렵인 Ötzi와 같은 약 45세.
그래서 5300년 전, 초기청동기 시절의 Ötzi가 대한민국을 살아간다면 어떨까라는 흥미로운 관점을 갖기로 했습니다. Ötzi가 살만한 곳이라면 대한민국은 헬조선이 아닙니다. 살기 좋다 소문난 지구별에 여행을 오게되어 영광입니다.
 
Best,
Ötzi le Brun.

P.S.
표절하시면 돈 달라고 할껍니다..


참고문헌

  1. Wikipedia Contributors. Ötzi.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Ötzi (2023). 

블로그의 정보

청동기 농경수렵인의 지구별여행

Ötzi

활동하기